●수 도 : 스톡홀름 (인구 98.5만 명, 2022) * 스톡홀름주(county) 244만 명
●면 적 : 450,294㎢ (한반도의 약 2배)
●인 구 : 1,052만명 (스웨덴통계청 2022.12월)
○(2021년기준) 평균수명 : 남-81.4세, 여-85.0세 / 인구증가율 : 0.7%(2022) / 출산율 : 1.67명
●언 어 : 스웨덴어
●교 육 : 10년제 의무교육(1학년 시작 전 준비 학년(preschool class) 포함)
●종 교 : 루터교 (기타 가톨릭, 이슬람교 등)
●정 체 : 입헌군주제
●정부형태 : 내각책임제 (총리실 포함 12개 부처, 총리 포함 23명 각료)
○국가원수 : 칼 구스타프 16세 국왕 (Carl XVI Gustaf)
○총리 : 울프 크리스터숀 (Ulf Kristersson, 보수당, 2022년 10월 취임)
●국 경 일 : 6월 6일 (National Day)
●화 폐 : 크로나 (Krona, SEK) * 유로화 미가입
●주요경제지표(출처: The World Bank)
연도 | GDP(억불) | 1인당 GDP(불) | 실업률(%) | 물가상승률(%) |
---|---|---|---|---|
2022 | 5,905 | 56,300 | 7.4 | 8.4 |
2023 | 5,933 | 56,305 | 7.6 | 8.5 |
주요 무역대상국 : 독일, 노르웨이, 영국, 덴마크, 핀란드 등 유럽 국가가 72% 차지
수출 규모(2023) : 2,100 십억 SEK
수입 규모(2023) : 2,044 십억 SEK
주요 수출품목 : 자동차, 기계류, 전자통신장비, 의약품, 석유화학제품, 식음료 등(출처: 스웨덴 통계청)
주요 수입품목 : 전자통신장비, 기계류, 자동차, 식음료, 원유 등(출처: 스웨덴 통계청)
●산업구조
○소규모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출 의존형 산업구조 발달 (대외의존도 약 60%)
○전통적으로 제조업 분야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, 복지제도 강화로 1960년대 중반부터 공공부문의 비중 증가
* 주요자원: 철광석, 구리, 목재, 수자원
○주요 산업 : 자동차, 철강, 기계, 제지·펄프, 석유화학, 의약, 정보통신
●시 차 : 한국시간=스웨덴 시간+8시간 (서머타임 기간중 +7시간)
●2000. 12월 김대중 대통령, 2009.7월 이명박 대통령이 스웨덴을 방문하고, 2012.5월 구스타프 16세 국왕 내외 및 2015.3월 빅토리아 왕세녀가 방한하는 등 양국 정상을 비롯하여 외교, 통상, 국방, 교육 등 제분야에서 고위 인사 교류 활발.
●2010년 카타리나 스베드 인프라 장관 방한, 홍재형 국회 부의장 및 정동영, 한-스 의원친선협회회장 방문
●2011년 에바 비욜링 통상장관 방한, 진수희 보건복지부장관 방문, 스텐 톨포쉬 국방장관 방한, 구닐라 칼손 개발협력장관 방한
●2012년 칼 빌트 외교장관 방한, 구스타프 16세 국왕 국빈 방한, 임채민 보건복지부 장관 방문
●2013년 울프 크리스테르손 사회보험장관 방한, 칼 필립 왕자 방한, 칼 빌트 외교장관 방한, 에바 비욜링 통 상장관 방한
●2015년 박영선 한-스 의원 친선협회장 방문, 빅토리아 왕세녀, 아니카 스트란드핼 사회보험장관 방한, 우르반 알린 국회의장 방한, 안나 요한손 인프라장관 방한,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방문, 가브리엘 빅스 트룀 보건의료체육장관 방한, 미카엘 담베리 기업혁신부 장관 방한
●2016년 이관섭 산업부 차관 방문, 심재철 국회부의장 방문, 카롤린 쉬베르 의회 민정위원장 방한, 박상옥 대법관 방문, 스웨덴지방자치단체협회(SALAR) 안데쉬 크나페 부회장 방한
●2017년 조경태 국회 기획재정위원장 일행, 권순일 대법관, 심재권 국회 외통위원장 일행, 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 방문, 안 린데 EU‧통상장관 방한
●2018년 권인숙 한국여성정책개발원장, 김영주 고용노동부장관, 심보균 행정안전부 차관, 허용범 국회 도서관장 방문, 아니카 스트란드핼 사회보험장관, 칼 구스타프 16세 국왕, 마르고트 발스트룀 외교장관, 빅토리아 왕세녀 방한
●2019년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방문, 문미옥 과기부 제1차관 방문
●2019.6월 문재인 대통령 최초 국빈 방문
●2019.12월 스테판 뢰벤 총리 공식 방한
●2020.9월 박병석 국회의장 공식 방문
●2022.4월 안드레아스 노르리엔 의장 공식 방한
●2023.5월 한덕수 국무총리 공식 방문
<한국의 대스웨덴 교역 현황>
* 출처 : KITA (단위 : 억불)
연도 | 수출 | 수입 | 총계 |
---|---|---|---|
2023 | 13.9 | 21.0 | 34.9 |
2022 | 14.2 | 19.4 | 33.6 |
●양국간 총 교역 규모 : 35억불 (2023)
○주요 수출품목 : 승용차, 전기자동차, 무선전화기, 자동차부품, 합성수지(유럽 현지공장으로부터 승용차, 타이어 및 가전제품 반입 증가 추세)(츨처: Kotra)
○주요 수입품목 : 승용차, 합성수지, 자동차 부품, 화학제품 장비 등(출처: Kotra)
●한국의 대스웨덴 투자규모 : 50백만불 (2023월, 한국수출입은행)
●스웨덴의 대한국 투자규모 : 73백만불 (2023월, 산업통상자원부)
●산업기계, 의료기기, 자동차부품, 통신기기 등 분야에 주로 투자하고 있으며, Volvo, SKF, Ericsson, Envac, Alfa Laval, IKEA, Stena, H&M, Atlas Copco, TetraPak, Hitachi Energy, ABB, Envac 등 약 120여개의 스웨덴 기업이 한국에 진출
●총 13,055명(재외국민 2,018명, 시민권자 11,037명) (2020.12월 기준)
○재외국민(2,018명) : 영주권자 519명, 일반체류자 1,358명, 유학생 141명
○시민권자(11,037명) : 입양인 8,937명, 일반 시민권자 2,100명
●한서협회 (홈페이지: www.koreanska.se)
●입양한인협회(AKF) (홈페이지: http://akf.nu) *1986년 설립되었으며 입양한인 및 가족을 포함, 약 200명의 회원으로 구성